본문 바로가기

시골살이/농사이야기

09.28 고구마 캐고, 마늘심고

2013년 09월 28일 토 맑음

 

올해 고구마는 여러가지 시도를 해 봤다.

몇 해동안 직접 순 키우기 도전한 결과

올해는 반골정도는 우리가 직접 키운 순으로 심을 수 있었고,

매년 비슷한 시기에 모종을 다 옮겼었는데,

올해는 몇 주간격으로 나눠 심어서 

수확을 조금 일찍부터 해 볼려고 했었다.

그리고 올해는 밭이 많아져서 예년대비

꽤 많이 심었다.

 

그 결과는 어떨까?

아직은 판단하기 이른 것 같다.

 

다른 밭들은 8월부터 고구마를 수확하는데

좀 더 꾹 참고 더 기달려 보기로 했다.

5월 초경에 심었던 놈들은 캘때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몇 주전에 조금 캐 보았는데,

아직 알이 차지 않았였다.

 

오늘 다시 기대를 갖고 고구마를 캐어보니

굼벵이가 흔적을 남긴 놈들도 보이고,

아직 생각보다 알이 많지 않고 작다. 

거름더미 옆에 심었던 곳에는 

이렇게 제법 모양을 고구마 같다. ^^ 

근데 그 옆의 놈의 순을 뽑아보니 

또 이런 자그마한 놈들이... -.-;;

조금 더 기다려 보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이다. 

 

귀농하면서 주 작물이 뭐냐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때마다 특별히 하나의 작물에 치우치지는 않고

안심는 것 빼고 다 한다고 했었다.

그러나 맘 속으로는 마늘을 염두에 뒀었다.

처가집에서 봐오고 배운 것이 마늘 일이였기때문에

어느정도 자신감도 있고 해서였다.

그런데 마늘은 생각보다 가격이 비싸서 그런지

찾으시는 분들이 별로 없다.

그래서 매년 마늘을 심으면서

그 양을 어떻게 할까 고민이 많이 된다.

올해는 조금 양을 줄여서 심어 볼까 한다.

 

기계, 비료, 비닐, 농약 사용하지 않고,

키우는 민새네 마늘을 알아주는 사람들이

있을때까지 더 열심히 지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올 초에 만들어 둔 거름더미

땅콩 심었던 밭에 거름을 뿌린다.

띄엄띄엄 심어 뒀던 수수는 

많은 알을 달고 있지만 익을려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릴 듯 하여 그대로 두니

자연스럽게 마늘 밭 사이의 경계가 되었다. 

오후 늦게 시작했더니 밭에 거름내고,

손쟁기로 밭을 갈고 나니 날이 벌써 어두워진다.

 

내일은 비가 오고,

월요일날부터 마늘을 심어야 겠다.

'시골살이 > 농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5 마늘 싹 올라오고, 율무베고...  (2) 2013.10.08
10.04 소 잃고 외양간 고쳤네  (0) 2013.10.07
10.03 으이구 이놈!!  (0) 2013.10.06
09.27 첫 타작 - 논농사  (0) 2013.09.29
09.26 양파 모종밭  (0) 2013.09.26
09.24 양파 배추 생강 고구마  (0) 2013.09.25
09.22 양파 모종  (0) 201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