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일단상(斷想)

(55)
봄비는 내리고... 지난 며칠동안 생각지도 못한 일들로 많은 문자와 많은 통화와 많은 생각들을 했었다. 아직도 계속되는 걱정들로 답답함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 마침 비가 내린다. 마른 대지위에 촉촉히 봄비가 내린다. 내리는 봄비에 답답함도 같이 쓸려 내려 땅 속 깊이 흘러들어갔으면 좋겠다. 벌써 비는 그만 내리려나 보다. ㅜㅜ
허리펴고 하늘을 보니... 한낮의 뜨거운 햇볕을 피하기위해 이른 아침부터 서둘러 논과 밭의 풀을 맨다. 그래도 짧게 짧게 시간을 내어 이일 저일하다보면 얼굴은 빨갛게 익고 온 몸은 땀으로 샤워한 듯 하다. 선선할때 집을 나서 다 하지 못했던 일을 하기위해 이른 저녁을 챙겨 먹고 나선다. 해는 서산을 넘어 가고 강렬했던 햇빛대신 선선한 바람이 좋은 저녁. 열심히 풀을 매다 자리에서 일어나서 허리 펴고 고개들어 바라본 하늘이 참 예쁘다. 가진 것이 많지 않아도 지금을 만족하며 살아갈 수 있다면 그것 만큼 행복한 것은 없을것 같다.
빗소리 차분하게 비 내리는 새벽. 땅바닥과 부딪히는 소리가 반갑다. 비를 기다리던 농부의 마음을 울리는 빗소리다. 넉넉히 내려 땅과 곡식들이 잘 어우러지고 농부들도 쉬어가자.
가을 그 뜨거웠던 열기가 어느순간 급하게 식어버리고, 이제 가을이다 싶다. 비 그치고 하늘에 큰 포물선을 그린 무지개. 오랜만에 아궁이에 장작불을 지폈다. 해지는 저녁하늘이 이색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가을이 왔다.
논이 있어 좋다 요즘 아침 저녁으로 논에 나가 본다. 논이 있어 참 좋다. 그저 의무감이 아니라 잠시나마 내 마음을 달래보는 시간이 된다. 이른 아침 이슬 머금은 모들과 거미줄들을 보며 상쾌함을 느끼고, 해질무렵 조용한 호수에 와 서 있는 듯한 차분한 느낌이 든다. 혼자서 오롯이 산책하듯 두렁과 두렁을 도랑을 넘어다니며 논을 둘러 본다. 논두렁을 걸으며 논 속의 생물들의 분주함도 보고, 뿌리내려 진한 초록의 모들을 손으로 만져보며 한마디 던져본다. '이렇게 잘 크고 있구나. 기특하다.' 논이 있어 참 좋다. 마음의 안식처가 되어준다. 그래서 참 좋다.
착한 농사 착한 농사란 무엇일까? 몇년 농사 짓지도 않은 아직 모자란 농사꾼이 갑자기 드는 생각이다. 뭘까? 착한농사란... 소비자들은 유기농이라고 하면 아직도 금이야 옥이야 하는 경향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기농이 착한 농사일까? 생산자 입장에서는 잘 팔려서 돈 많이 벌어주는 것이 착한 농사일까? 내가 생각하는 착한 농사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알아야 착한 농사가 된다 생각한다. 내가 키운 것이 어떤 사람에게 어떤 모습으로 다가갈지 알고, 내가 먹는 이 농산물이 어떤 농부의 손길로 자라났는지 아는 그런 농사가 착한 농사라 생각한다. 거창하게 유기농이네 자연농법이네 다 필요없지 싶다.
일각수(一角獸) 요즘 12시(정오)와 오후 5시가 되면 온 세상이 쥐 죽은 듯 조용하다. 늘 조용했던 시골 마을이 몇 년전부터 시끄러워졌다. 그 시작은 하천공사가 시작되고 나서 부터다. 큰 덤프트럭이 하루에 몇십대씩 돌아다니고, 큰 차에 실린 것을 뿌려놓으면서 내는 굉음과 뿔 한개 달린 괴물(일각수)이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굴삭기의 다양한 작업들로 인해서이다. 거기다 요즘은 공사용 돌깨는 기계까지 등장하여 하루 종일 무서운 소음에 시달린다. 이 소음이 멈춰지는 시간이 점심시간인 12시부터 한시간, 퇴근시간인 오후 5시 이후인데, 이 시간이 되면 참으로 평온하다는 생각이 들고, 이전의 그 평화로움이 참 고마웠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법정스님의 아름다운 마무리에 실린 글 중에 한 노스님이 일각수(一角獸) 얘길 하시면서 머지않..
생각의 차이 귀농을 준비하고, 귀농을 실행하고, 귀농해서 농사를 지으며 생각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다. 농사 지어보지 못한 나는 좀 천천히 가자고 한다. 농부의 딸로 자란 아이 엄마는 끊임없이 보이는 시골 일에 하루가 짧다고 한다. 귀농한 나를 보고 남자들의 공통적인 한마디...남자의 로망이란다. 귀농한 우리가족을 보고 주부들의 공통적인 한마디...힘들지 않냐고 한다. 난 전업농으로 평생 농사를 지으며 살고 싶다. 허나 시골 일을 보는 눈이 아직은 많이 모자란다. 조금씩 나아지고 있지만,,,여전히 옆에서 보는 사람에게는 성이 차지 않는 듯 하다. 귀농 초기 가졌던 원칙들은 아직 지켜내고 있다. 생각의 차이가 조금씩 좁혀져서 같은 길을 가는 좋은 동무가 되는 시간이 빨리 되었으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