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맑은 날씨.
![](https://blog.kakaocdn.net/dn/bNg83r/btqGFrKI73B/oHffsDf1lriliNnmAofh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nG1Of/btqGDPYXhl2/SmbGKKmLoOsWGbHJOMkc81/img.jpg)
황매산풀치기는 계속되고...
근데 오늘은 좀 빡시게 예취기를 돌린 탓인지 어깨도 아프고,
피곤이 몰려옵니다.
그러나 일은 힘들어도 가끔 이렇게 지역 형님들 만나서 이런저런 얘기 나누고,
도움이 되는 정보도 얻고,
오래된 가회면 얘기, 지역사람들 얘기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 참 좋습니다.
오늘은 점심 먹고, 쉬는 시간에 정부정책을 비판하는 얘기가 나오다가
올해부터 시행된 공익형직불제에 대해 화두가 던져져 열띤 얘기가 오갔는데요.
공익형직불제는 소농, 면적직불제 두가지로 나눠지고,
두가지 중 여러가지 판정 기준에 따라 소농 또는 면적직불제 중 한가지만 신청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오늘의 새 직불제에 대한 주요 쟁점은 ...
소농직불금(120만원)을 받을 수 있는 경작면적이 300평에서 0.5헥타르(1,500평)까지인데,
만약에 1600평을 가지고 있다면 소농직불금대상이 되지 않아
'소농대상자보다도 농사를 많이 짓는데도 직불금은 더 적게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불합리하다',
'공익형직불제에 대한 홍보가 잘못되었다',
즉, 홍보지가 시골 노인분들이 잘 이해 할 수 있는 내용으로 되어 있었는가?
그게 어렵다면 잘 설명해 주었는가?
그리고 홍보에 농업이 왜 공익형인가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다.
소농직불금 금액이 120만원이라는 부분이 부각이 되면서 내가 받을 금액에만 촛점이 맞춰져버려
공익적 가치와 그 실천 해야할 의무사항은 관심 밖으로 벗어나버렸다.
'공익이라는 이름만 멋 떨어지게 붙인 것 같다'!!
이런 얘기들이였었네요.
전 개인적으로 첫 시행하는 정책이다 보니, 많은 문제점이 있을 것이나
시행하면서 수정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공익이라는 말이 직불제 앞에 붙어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저도 머리속에 넣어 놓을려고 하는데, 이제 자꾸 까먹어 버리네요.
굳이 외워야할 것은 아니지만, 찾아보니
농민단체의 입장에서는 아래와 같네요.
▲쌀이 갖는 산업적 가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기능 ▲홍수 조절, 지하수 함양 등 환경 보전적 가치 ▲농촌공동체 유지 기능
그리고 농민신문에 기획기사로 다룬 부분이 있더라구요.
20년뒤 미래 가상의 한국상황을 웃프게 그려놓은 글입니다. 아래 링크 일독을 권해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c1up/btqGDrj6ntu/kDqLPwnkx12lTBiCysims0/img.jpg)
https://www.nongmin.com/news/NEWS/POL/ETC/325655/view#none;
[K농시대를 열자 1부-농업의 공익적 가치] ‘농업 사라진 미래’ 가상 스케치
일러스트=이철원 [K농시대를 열자 1부-농업의 공익적 가치] ‘농업 사라진 미래’ 가상 스케치 다시 곡식이 심어질 날을 기다리며… 농업 관련 정부부처 없고 농사짓는 사람 사라지고 쌀·채소 ��
www.nongmin.com
농업은 시장논리로 접근해야 할 부분이 아니라는 결론을...!!!
'시골살이 > 농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22 이제 밭으로 갈 때가 되었는데...배추모종 (0) | 2020.08.23 |
---|---|
0817 벼이삭이 패기 시작했습니다. (0) | 2020.08.21 |
0816 햇빛에 말리기_ 무 밭만들기 (0) | 2020.08.21 |
0813 양배추 정식 (0) | 2020.08.13 |
0812 장마에 '계' 탄 토란 ㅎㅎ (0) | 2020.08.12 |
0811 비가 그치나 싶더니 (0) | 2020.08.12 |
0809 반가운 햇님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