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골살이/농사이야기

0422 봄날이 와이리 춥노?? 증말!!

민새맘이 아침 밥 먹다가 장모님께 전화를 합니다. 

강낭콩을 다시 심어야 하나 어쩌나 여쭤볼려고 해서인데요. 

아침식사전에 밭에 갔다 왔는데, 

예쁘게 잘 올라오던 강낭콩이 밤새 낮아진 기온에 폭삭 얼어버렸다는 겁니다. 

오후에 밭에 나가서 직접 보니 이런 모습이더라구요.

장모님께 여쭤본 결과 다시 심어야 한다는 군요. ㅠㅠ

강낭콩을 물에 넣어 불리고 있습니다. 

 

바람이 며칠 엄청 불고 있습니다. 

바람이 없으면 따스한 봄날씨인데,

바람만 불면 옷사이로 스며드는 찬바람에 몸이 움츠러듭니다.

이런 날씨가 참 싫습니다. ㅜㅜ

밭에 이것저것 파종할 준비는 다 해두었는데, 

아무래도 이 추위(?)가 물러가야 생강, 땅콩, 고구마를 심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무슨 일을 할까하다가 

아기자기한 작은 두둑을 만들었습니다. 

예전 도시에서 주말농장할때 만들었던 두둑 같아 갑자기 

옛 생각이 나 흐뭇했습니다. ^^ 

올해 꼭 심을려고 따로 챙겨두었던 러셋감자를 

이제서야 찾아서 뒤늦게라도 심어보기로 해 만들기 시작한 

작은 두둑에 바질이랑 상추도 뿌릴려고 자그마한 두둑을 더 만들었습니다. 

러셋감자는 전분이 많아 많아 식감이 좋고, 튀김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감자라고 합니다.

감자싹이 떨어지지 않게 조심조심 심었습니다. 

토종상추씨도 뿌리고, 

바질씨도 골라 뿌렸습니다.

씨를 고른 장갑에 바질의 그 향이 오래 가더군요. 

이제 서서히 씨나락을 모판에 넣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이번주 금, 토요일이 생명역동달력의 열매의 날이라 

볍씨 소독을 금, 토 중 하루 할려고 합니다. 

볍씨소독하고, 일주일정도 씨나락 최아과정(싹틔우기)을 거쳐 

모판에 볍씨를 넣고, 일정정도 싹이 자라면 논에 모판을 넣게 됩니다.

논에 모판을 넣기 위해 못자리를 해 둬야하는데, 

이일이 젤 신경쓰이고, 걱정되는 일이라 오늘 논에 나가서 

못자리를 만들 공간을 조금 준비를 해 두었습니다.

늘 하듯이 논 초입에  2줄정도 만들려고 합니다.

한줄당 폭은 넉넉히 2m정도, 길이는 총 100판이 놓여질수 있도록 15m.

1차적으로 삽으로 갈개(두둑)를 만들어 기본적인 틀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두해전부터 모를 제대로 키우지 못해 동냥해서 심었었는데요.

그게 못자리 탓인지, 볍씨를 모판에 넣을때 문제였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못자리쪽에서 평탄화에 좀 신경을 많이 써서

어린 모판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하고, 

모판이 흙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할려고 합니다. 

씨나락을 모판에 넣을때는

동네 부녀회장님댁 씨나락 넣을때 가서 

일손도 거들면서 배워볼려고 소리를 내어 놓았습니다. 

지금껏 뭐든 저희 힘으로 다 할려고 했었는데, 

모르는 것은 좀 배워가면서 해야겠더라구요. ^^

 

* 러셋감자 소개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8180&docId=1979018&categoryId=48248)

 

감자의 대부, 미국의 러셋감자

흰감자의 한 종류인 러셋감자는 보통 아이다호감자(idaho potato) 혹은 베이킹감자(baking potato)라고 불린다. 미국 감자를 대표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감자로 러셋(russet)이라는 말뜻처럼 황갈색의 껍질을 가지고 있다. 또 크기가 크고 긴 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어 가공용 감자로 많이 쓰인다. 한국에서 감자 하면 강원도를 떠올리듯이 미국에서 감자 하면 아이다호를 떠올릴 만큼 러셋감자는 그 쓰임새만큼이나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감자다.

terms.naver.com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8180&docId=1979014&categoryId=48248)

 

'시골살이 > 농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26 드디어 뿌리작물(땅콩, 울금) 파종 시작  (0) 2020.04.30
0426 볍씨 소독 및 침종  (0) 2020.04.29
0424 요즈음...  (0) 2020.04.25
0420 씨고구마 가식  (0) 2020.04.23
0418, 0419 거름 만들기  (0) 2020.04.19
0416 논 로터리치기  (0) 2020.04.18
0415 생강 & 울금 밭 만들기  (0) 2020.04.18